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자4

공자의 후반생애 철학자 소크라테스와 공자초반생애에 이어 이번글에서는 공자의 생애후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교육활동 공자는 말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후학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그는 중국의 오래된 전통적 경전들을 제자들에게 가르쳤다. 공자가 교육에 활용한 경전은 '육예(六藝)' 또는 '육경(六經)'이라 불리는 '역','시','서','예','악','춘추'이다. 당시 육경은 진귀한 서적이였음에도 불구하고 공자는 속수 이상을 예물로 가져온 이에게 가르쳐주지 않은 적이 없었다. 금문학파는 공자가 육경을 창작했다고 주장하였으며 고문학파는 공자가 육경을 계술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공자 이전에도 육경의 이름들은 사서에 등장하지만 유가의 계술이 있은 후에야 단순한 점술서, 잡기의 영역을 뛰어넘을 수 있었다. 실제로 '춘추.. 2022. 11. 3.
공자와 공자의 생애초반 이번글에서는 공자와 공자의 생애초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공자 - 공자(쿵쯔) 또는 공부자(쿵푸쯔, 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 시조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 · 사상가 · 교육자이고, 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기도 하였다. 대부분 유교의 시조로 알려져 있으나, 어떠한 관점에서 보더라도 유가의 성격이나 철학이 일반적인 종교들과 유사하게 취급될 수 없다는 점에서 20세기 중반 이후에는 이처럼 호칭하는 학자는 거의 없다. 유가 사상과 법가 사상의 공동 선조였다. 춘추시대에 서주의 제후국인 노나라의 무관인 숙량흘의 둘째 아들이자, 서자로 태어났었다.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이다. 정치적으로는 요순우 삼황 오제의 이상적 정치와 조카를 왕으로서 성실하게 .. 2022. 11. 3.
철학 문제의 특징과 소크라테스 이번글에서는 철학상 문제의 특징과 소크라테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철학 문제의 특징 - 철학과 다른 학문을 구분하는 방법은 철학이 제기하는 문제가 다른 학문의 문제와 구분되는 점을 찾는 것이다. 18세기까지는 수학과 물리학은 철학과 독립된 학문이 아니라 하나의 자연철학으로 인식되었다. 물론 당시에 통용된 물리학은 오늘날 자연과학에서 다루는 물리와 엄청난 차이가 있다. 철학의 고유한 문제들은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의 4가지 물음으로 요약된다. 나는 무엇을 아는가?: 인식론의 주요 문제이다. 외부 사물은 실재하는가? 외부의 사물은 어떻게 인식되는가? 인간의 지각 능력에 독립해서 존재하는 실재란 과연 있는가? 있다면 인간의 인식은 어떻게 밖에 있는 실재에 대응할 수 있는가? 하나의 인식이 참이 될.. 2022. 11. 3.
철학(Philosophy) 필로소피 이번글에서는 철학에 대한 개념과 명칭의 어원, 철학 대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철학의 개념 - 철학은 세계와 인간의 삶에 대한 인간의 본질, 세계관 등 근본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또한 가치, 인식, 이성, 존재, 지식 그리고 언어, 논리, 윤리 등의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대상의 근원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철학적 방법이란 질문, 비판적 토론, 이성적 주장, 그리고 체계적 진술을 포함한다. 이런 개념은 프로타고라스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 철학(Philosophy) 필로소피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의 필로소피아(지혜에 대한 사랑)에서 유래되었다. 여기서 지혜에 대한 사랑은 일상생활에서의 실용하는 지식이 아닌 인간 자신과 그것을 둘러싼 세계를 관조하는 지식을 뜻한다. 이를테면 세계관, 인생관.. 2022. 11. 3.
반응형